- Today
- Total
목록자격증 (78)
겉바속촉
1. 리카도의 (한계지와의) 차액지대설 - 비옥한 토지(우등지)와 덜 비옥한 토지(열등지) 사이에 생산성 차이 발생 - 생산성의 차이로 인하여 지대 발생 - "곡물가격이 상승하여 지대가 발생하는 거야!!" - 지대의 성격 ㄱ) 리카도를 비롯한 고전학파의 주장 : 불로소득이다 ㄴ) 토지는 원시적으로 전조해니까 토지는 특별재화 ㄷ) 지대를 다른 생산요소들에게 지불하고 남은 잉여 = 즉, 불로소득 ㄹ) 차액지대설은 지대가 생산물가격에 영향을 주는 비용이 아닌 "잉여"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 2. 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 - 토지를 독점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절대적으로 지대 발생 - 토지소유자들이 토지소유권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 자체만으로 발생하는 것 - 토지의 비옥도(생산성), 위치 등에 관계없이 한계지에서도 토..
효율적 시장가설 - 부동산시장이 효율적이라면, 새로운 정보 발생시 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동산가격에 반영될것이고, 결과적으로 정보 효율적 시장에서는 이용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다 - 부동산가격이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신속,정확,충분하게 반영하여 그 정보로는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다 = 효율적시장가설 구분 반영되는 정보 정보의 내용 분석방법 초과이윤(수익) 약성 효율적 시장 과거정보 가격, 거래량의 패턴과 추세 기술적 분석 (차트분석) 획득 불가능 준강성 효율적 시장 과거 + 현재 정보 (공표된, 공개된) 재푸제표, 경영실적, 경제환경, 부동산 정책 ... 기본적 분석 (내재, 본질, 적정 가치분석) 획득 불가능 강성 효율적 시장 과거 + 현재 + 미공개 정보 미공개정보, 내부자정..
주택서비스 - 주택이 소유자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효용 의미 - 주택을 물리적 실체로 보지 않고 주택서비스를 제공하는 효용의 대상으로 본다면 동질적인 상품으로 취급가능 - 이질성이 강한 주택시장을 완전경쟁모형으로 분석하기 위해 용도적으로 동질화시키는 것 주택시장분석의 기본가정 1. 소득에 따른 부분시장 형성 - 고소득층 : 고가, 신규주택만 소비 - 저소득층 : 저가, 기존주택만 소비 한다고 가정 2. 주택수요와 주택소요 구분 주택수요 (demand) 주택소요 (needs) 개념 고소득층이 주택 구매하고자하는 욕구 저소득층에게 필요한 주택의 양과 질 대상 중산층 이상 유효 수요계층 저소득층 성격 효율성 측면 강조 형평성 측면 강조 공급 유량 개념의 신규주택공급 저량 개념의 기존주택공급 주택저량의 공급량과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iDEd/btrPApWtwi3/w0abDROo6JMu345v6xZD51/img.png)
부동산시장 특성 1. 지역시장, 시장의 국지성 - 부동성 원인 - 지역간 수급불균형 초래 - 지역이 달라지면 지역별로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됨 - 시장의 분화현상 발생 ( 여러개의 부분시장 ) 2. 수급조절의 곤란성 - 단기적으로 가격의 왜곡 발생 가능 - 부동산시장은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데 많은 시간 소요됨 3. 거래의 비공개성, 은밀성 - 개별성 - 폐쇄적인 시장 특성 - 정보탐색 비용 수반 - 불합리한 가격 형성 4. 상품의 비표준화성 - 개별성 - 일물일가 불성립 - 완전한 대체관계 제약 - 개별시장 형성 -> 독점적 시장으로 발전, 공급 비탄력적 5. 시장의 비조직성 - 개별성 - 부동산시장이 조직화되지 못함 - 정부에 의한 집중 통제 비용이 - cf ) 조직적 시장 : 유통체계를 갖..
부동산시장 개념 시장 - 완전경쟁시장 & 불완전경쟁시장 불완전경쟁시장 - 독점시장 : 생산자(1), 재화나 서비스 공급이 단일기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장조직 - 과점시장 : 생산자(소수), 공급자가 둘 이상이 소수로 구성된 시장조직 - 독점적 경쟁시장 : 독과점, 차별화된 유사한 상품을 취급하는 다소 많은 공급자로 구성된 시장조직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-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룸 - 균형가격에 해당하는 정상이윤만이 존재 -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배분되는 상태 1.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 존재 -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- 시장균형가격이 결정되면 그것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므로 가격순응자, 가격순용자라고 함 2. 재화의 동질성 3. 자원의 완전한 이동가능성 4. 완전한 정보 5. 시장기구에 의한 균형..
수요의 소득 탄력성 - 수요의 소득 탄력성 : 수요자의 소득이 변할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- 변화하는 정도는 소득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로 측정 - 수요의 소득탄력성 = (△수요량/최초의 수요량) % (△소득/최초소득) ㄱ) 소득탄력성(+) > 0 : 소득 증가로 수요 증가 -> 정상재 ㄴ) 소득탄력성(-) 열등재 (소득탄력성은 음의 값이 존재하는 것 주의) ㄷ) 소득탄력성 = 0 : 소득이 변하여도 수요량 변화 X -> 중간재 A 부동산 수요 가격탄력성 = 0.9, 소득탄력성 = 0.5 A 부동산 가격 2% 상승, 소득 4% 증가 A 부동산 수요량 전체 변화율 = ? (A부동산은 정상재, 가격탄력성은 절대값) A 부동산 ..
탄력성의 개념 - 탄력성 : 가격이 변할 때(원인) 양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판단하는 지표 - 정량적 지표 ** 정량적 지표 = 양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 ** 정성적 지표 = 자료의 성질이나 특징의 변화 공급의 가격탄력성 -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공급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- 공급의 가격탄력성 = (△공급량/최초의 공급량) % (△가격/최초가격) 공급의 가격탄력성 결정 요인 - 수요의 가격탄력성 : 대체재의 존재 유무, 용도전환의 가능성 여부, 부동산 종류, 세분화 정도, 목적달성 여부를 결정하는 기간 따라 달라짐 1. 생산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상품일수록 : 공급가격탄력성 ▲ 2. 생산량을 늘릴때 생산요소가격이 상승할수록 : 공급가격탄력성 ▼ 3. 용도전환이 용이할 수..
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 1. 소유물 반환청구권 - 점유물 반환청구권처럼 행사기간 제한 X - 현재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자에게 행사 가능 - EX1) 매도인 --- 매수인(이전등기 X) --- 제3매수인 : 매도인 -> 매수인에게 행사 불가 - EX2) 토지매도인 --- 토지매수인(건물건축) --- 건물매수인 : 토지매도인 -> 건물매수인에게 행사 불가 제213조(소유물반환청구권) 소유자는 그 소유에 속한 물건을 점유한 자에 대하여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. 그러나 점유자가 그 물건을 점유할 권리가 있는 때에는 반환을 거부할 수 있다. 2. 소유물 방해제거 청구권 - 방해 :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는 침해 -> 법익침해가 과거에 일어나서 이미 종결된 경우는 그냥 손해 - EX1) 토지소유자 -----..
탄력성의 개념 - 탄력성 : 가격이 변할 때(원인) 양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판단하는 지표 - 정량적 지표 ** 정량적 지표 = 양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 ** 정성적 지표 = 자료의 성질이나 특징의 변화 수요의 가격탄력성 -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- 수요의 가격탄력성 = (△수요량/최초의 수요량) % (△가격/최초가격) --> 최초값으로 하는 방법 & 중간점을 이용하는 방법 존재 - 수요의 가격탄력성 1 : 탄력적 - 수요의 가격탄력성 = 1 : 단위탄력적 1. 수요 공급이 각각 변하는 경우 - 수요 증가 : 균형가격 ▲ 균형거래량 ▲ - 수요 감소 : 균형가격 ▼ 균형거래량 ▼ - 공급 증가 : 균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