겉바속촉
[Blockchain] 블록체인과 해시 본문
지난 번에 타임스탬프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쥬!!
2020/07/24 - [IT일기/블록체인] - [Blockchain] 블록체인 타임스탬프
[Blockchain] 블록체인 타임스탬프
보안의 문제를 보완하는 것 그것이 바로 블록체인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:) 우리가 실시간 계좌이체, 무통장 입금... 꼭 은행방문을 하지 않더라도 플랫폼에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2-juhyun-2.tistory.com
그래서 해시함수까지 얘기가 나오게되었습니다
그렇다면 도대체 해시함수가 무엇일까요??
우선 함수의 구조는
우리가 값을 넣으면 그에 맞는 결과값이 나오게 합니다
해시함수는 일방향 함수입니다
그래서 계산을 통해 결과값이 나오는 것은 쉽지만
그 결과값을 보고 입력값은 무엇을 넣어주었을지 알아내는 것이
어려운 구조입니다
즉 원래의 입력 데이터와의 관계를 찾기가
어려운 함수인거쥬!
이 말은 우리가 결과값으로
입력값을 조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것입니다
입력값이 조금만 바뀌어도 결과값은 바로 바뀌어버리기 때문에
검증하는 것도 당연히 더 쉬워지게 된는 것이쥬
바로 이점을 이용해서
해시체인이라는 것을 만들어냅니다
A를 해시함수에 넣고 결과로 나온 h(A)를 다시 해시함수에 넣어줍니다
그 결과를 또 해시함수에 넣고
또 넣고
또.
또
...
이런 원리로 기술이 작동되는 것입니다
A ---> h(A) ---> h(h(A)) ---> h(h(h(A))) ---> ......
하기만 여기서 포인트는
원 데이터는 A 하나 뿐입니다
그리고 1979년도에 해시트리라는 것이 등장합니다
머클트리라고도 하는데요
데이터들일 2개씩 한 쌍으로 해서
해시함수에 넣고 도출된 각각의 결과를 또 한 쌍으로 해시함수에 넣고
최상위 해시값이 나올 때까지 반복해줍니다
(한 쌍을 이루지 못한다면
복사해서 한 쌍을 이루어주면됩니다)
이제는
모든 데이터로 해시트리를 만든 후에
해시체인으로 묶어버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
즉 블록단위로 해시체인을 생성해주는 것이쥬
'IT일기(하반기) > BLOCKCHA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lockchain] 암호 알고리즘 (0) | 2020.07.28 |
---|---|
[Blockchain] 비트코인 소스코드 (2) | 2020.07.21 |
[Blockchain] 비트코인 사이트, 비트코인 코어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(4) | 2020.07.21 |
[Blockchain] 블록체인 작동방식과 leader 선출 (0) | 2020.07.20 |
[BlockChain] 보안 메카니즘 (0) | 2020.07.20 |